행복해지는 법
사람은 누구나 행복을 추구합니다. 하지만 우리가 갖는 오해 중 하나는 어떤 사건이나 성취가 우리를 행복하게 할 것이라는 믿음입니다. 하버드 대학의 심리학 교수인 길버트 (D. Gilbert) 씨의 연구에 따르면 사람들은 특정한 사건이 미래의 행복 또는 불행에 끼칠 영향에 대해서 지나치게 과대평가하고 있다는 것입니다. 예를 들면 미국 대학의 젊은 교수들이 테뉴어 (Tenure 정년보장) 심사를 앞두고 있을 때 테뉴어를 받는 것이 자기의 인생을 근본적으로 바꾸어 줄 것이라고 믿고 있지만 실제로는 전혀 그렇지 않다고 합니다.
물론 심사 직후 통과한 사람의 행복수준은 매우 높고, 그렇지 못한 사람은 불행과 실의를 경험하지만, 시간이 지난 후에 그들의 행복수준을 검사해 보면 고작 몇 개월 만에 평소의 행복수준으로 되돌아가 있더라는 것입니다. 결국 우리가 목표한 일에 성공하므로, 또는 내 꿈을 이루므로 행복해 질 수 있을 것이라고 생각하지만, 모두 일시적인 것에 불과한 것이고 결국은 자기가 가지고 있는 고유한 행복수준이 본인의 행복을 결정한다는 것입니다.
각 사람의 고유한 행복수준은 50%정도는 유전적으로 결정된다고 합니다. 그래서 우리 중에는 ‘해피바이러스’ 라고 부르는 선천적으로 행복한 사람이 있고, 반면에 옆에 있으면 덩달아 우울해 지는 사람이 있습니다. 하지만 행복수준의 나머지 50%는 후천적으로 결정되기 때문에 우리는 노력을 통해 고유한 행복수준을 높일 수 있습니다.
행복수준을 높이는 방법으로 저자는 세 가지를 얘기합니다. 첫째는 자신의 강점을 발견하고 일상에서 끊임없이 그 강점을 발휘하면서 사는 것입니다. 우리는 예전부터 약점을 보완하도록 교육을 받아왔지만 그렇게하면 늘 본인이 모자라는 사람으로 느껴지기 때문에 행복감을 높일 수 없습니다. 그보다는 자신의 강점을 발견하고 내가 잘 하는 일을 통해 즐거움과 성취감 그리고 보람을 느낄 때 행복감이 높아지는 것입니다. 두번째는 감사의 훈련입니다. 사람은 감사를 표현하고 느낄 때, 심장 박동이 달라지고, 뇌파가 달라지고, 신경계에 영향을 미쳐서 체질적으로 행복한 정서가 만들어진다고 합니다. 마지막 세번째는 규칙적이고 적당한 운동입니다. 규칙적이고 나이에 맞는 적당한 운동을 할 때 뇌도 건강해 지고 평균 행복수준이 높아진다고 합니다.
목장은 칭찬과 감사가 넘쳐야 합니다. 그래야 행복한 삶과 신앙이 이루지기 때문입니다.
-이수관 목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