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처’라는 단어
예전에는 거의 사용하지 않았는데, 요즘 유독 우리의 입에 자주 붙어 있는 단어 중 하나가 ‘상처’라는 단어입니다. 그래서 ‘누구에게 상처를 받았다’느니 ‘나에게는 지워지지 않는 깊은 상처가 있다’느니 하는 말이 흔치 않게 사용되고 이 단어를 떼어내면 뭔가 대화가 안 되고 설명이 안 될 정도가 되었습니다.
하지만 상처라는 단어는 여러 가지 나쁜 영향을 주고 있습니다. 예전 같으면 친구의 가벼운 말실수 정도의 일이, 혹은 듣기에 기분이 썩 좋지 않았던 농담으로 지나쳐 버렸을 일들이 상처라는 단어로 바뀌며 마치 치료를 받아야 할 만큼 심각한 고통으로 기억으로 저장되고 있습니다.
상처라는 단어는 기쁨, 슬픔 같은 단어와 마찬가지로 우리의 감정을 나타내는 이름입니다. 그러므로 상처라는 단어를 사용하는 순간 우리의 감정은 그렇게 느끼기로 결정하는 경향이 있습니다. 예를 들면 어떤 상황에서 ‘기쁘다’ 하고 표현하면 마음이 실제로 기뻐지지만, 약간의 거북스러움을 ‘상처 받았다’ 하고 표현하면 그 다음은 치료가 필요하고, 회복하는데 시간이 필요한 어떤 것이 되어 버리는 것입니다.
전문가에 의하면 이 ‘상처’라는 단어는 현대 사회로 들어와 상담학이 발달하면서 새롭게 만들어진 단어라고 합니다. 예를 들면 죄라는 단어 대신 이를 병으로 대체한다든지 하는 것입니다. 사람은 과거의 일을 이미지화해서 기억 속에 넣어둡니다. ‘따뜻했던 그 해 겨울’, ‘유난히 춥고 쓸쓸했던 그 해 겨울’처럼 지나간 일을 내가 느끼고 해석한대로 이름을 붙이고 이미지화해서 기억 속에 넣어 두는 것입니다. 그런데 어떤 일에 상처라는 이름을 붙인다면 사실과 추억이 부정적인 이미지로 남게 됩니다.
고난은 하나님께서 우리를 만들어 가기 위한 방법 중에 하나이고, 고난 중에 발휘되는 인내를 통해서 예수님을 닮아가는 갑니다(약1:2-4). 그래서 사도들은 고난을 기뻐하라고 합니다. 그런데 이 고난을 상처라고 표현해 버리면 전혀 다른 이야기가 됩니다. 예수님을 닮게 하는 도구가 될 수 없을뿐더러 내 안에서 해결되지 못하고 남아있는 쓴 뿌리가 됩니다.
상처라는 단어는 현대인들을 약하게 만들고, 현재에 겪고 있는 문제에 대해 핑계를 만들고, 특별히 신앙에서 가장 중요한 ‘관계’를 맺어 가는데 있어서도 어려움을 겪게 만듭니다. 어떤 이의 작은 실수가 나에게 상처를 준 사람이 되고, 그러면 나는 여기저기 상처를 받은 사람이 되니 어떻게 아름다운 관계를 만들어 가겠습니까? 그러므로 앞으로는 ‘상처’라는 단어를 좀 멀리하면 좋겠습니다.
- 이수관 목사(휴스톤 서울교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