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go

  • 로그인
  • 회원가입
  • 페이스북 트위터 블로그

서브페이지

  • home

Home
T기본글꼴
  • 기본글꼴✔
  • 나눔고딕✔
  • 맑은고딕✔
  • 돋움✔
✔ 뷰어로 보기
2021.11.27 14:25

평화로운 공동체회의

동부중앙교회
조회 수 7 추천 수 0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가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가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평화로운 공동체회의

 

다운로드.jpg

 

 

 

 

 

오늘은 담임목사와 협력하는 평화스러운 회의를 만드는 방법에 관해서 생각해 보겠습니다. 평화스러운 공동체 회의가 되기 위한 핵심은 교회의 존재 목적을 교회를 향하신 예수님의 뜻을 묻고 찾아가는 것에 두는 것이라고 생각합니다. 교회가 예수님의 몸이라면 머리되신 예수님께서 그 분의 뜻을 그 분의 손과 발인 교회에 전달하실 텐데 그 말씀을 잘 듣고 교회가 하나님의 뜻을 수행하도록 하는 곳이 바로 총회(혹은 제직회의)인 것입니다.

 

첫 번째, 총회에서 목소리가 큰 사람이 의견을 주도하지 않도록 하고, 대신 그 문제를 놓고 기도를 가장 많이 한 사람이 의견을 주도하도록 해야 합니다. 회의의 가장 큰 문제는 목소리가 큰 사람이 다수의 입을 막아버리고 의견을 주도하는 것입니다. 그런데 목소리가 크다는 것은 쉽게 말하면 고집이 센 사람이고, 성숙과는 거리가 멀 가능성이 많은 사람입니다. 그런 사람이 의견을 주도한다면 총회가 하나님의 뜻을 찾는 것과는 거리가 멀 것입니다.

 

두 번째, 간단한 안건은 만나기 전에 서면으로 미리 결정하는 것도 방법입니다. 우리 교회의 경우는 대부분의 안건을 인터넷으로 처리합니다. 한 사람이 의견을 올리면 댓글을 이어서 다는 것으로 회의를 진행하는데 그렇게 할 때 논쟁할 일이 거의 없는 것을 봅니다. 그렇게 되면 토요일 집사회에서 만났을 때는 이런 저런 건이 이렇게 정리 되었다라고 사회를 맡은 분이 최종 정리하는 정도로 끝을 낼 수 있었습니다.

 

세 번째, 중요한 이슈를 놓고 담임목사와 평신도 지도자가 함께 하나님의 뜻을 찾으려고 할 때, 가장 중요한 것은 평신도 지도자들이 담임목사의 의견에 마음을 합해 주려는 노력이 가장 중요하다 싶습니다. 하나님께서 당신의 뜻을 들려주신다면 아무래도 교회를 놓고 가장 기도를 많이 하는 담임목사에게 그렇게 하실 가능성이 가장 많습니다. 그러면 그 안건을 놓고 그것이 과연 하나님께서 주신 생각인지를 제직들이 함께 기도하게 됩니다. 그런데 이때 제직들은 나에게 임하는 하나님의 음성을 들으려고 해서는 안 됩니다. 제직들은 기도를 할 때, 담임목사님의 생각이 맞는가 틀리는가가 아닌 만약 이것이 하나님의 뜻이라면 같은 소망이 생기게 해 달라고 기도하는 것이 좋습니다. 기도하기 전에 모여서 그 생각을 주신 배경도 듣고 얘기도 들은 후에 기도해 보는 것입니다. 같은 소망이 생기도록. 그렇게 일정 기간을 기도한 후, 그래도 뭔가 염려가 들면 그 문제를 내놓고 함께 그 부분을 위해서 함께 기도하고, 그렇게 제직들이 같은 소망이 생길 때까지 기도하면서 길을 찾아가는 것이 방법입니다.

 

마지막으로, 아름다운 회의나 제직회를 만드는데 있어서, 무엇보다도 중요한 것은 담임목사와 공동체간의 상호 신뢰입니다. 담임목사는 사심 없이, 게으르거나 편하게 목회하려고 하지 않고, 희생을 바탕으로 열심히 사역을 하는 모습을 보여야 하고, 평신도 리더들은 그런 목사님을 인정해 드리고 더 편하게 목회할 수 있도록 편의를 제공해 드리려고 노력할 때 그런 상호 신뢰가 생길 것입니다. 그렇지 않고, 회의는 담임목사님을 견제하고 실수하지 않도록 하기 위해서 존재한다고 생각할 때 행복한 교회의 모습은 요원하다고 볼 수 있겠습니다.

 

 

 

 

                                                                                                  가정교회 국제가사원장 이수관 목사-

 

Prev 서리집사 임명기준 서리집사 임명기준 2021.12.04by 교회재정관리 Next 교회재정관리 2021.11.20by
0

추천

0

비추천

Atachment
첨부 '1'
  • 다운로드.jpg,
Facebook Twitter Google Pinterest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에디터 선택하기
✔ 텍스트 모드 ✔ 에디터 모드
?
댓글 쓰기 권한이 없습니다. 로그인 하시겠습니까?

  • List
  • Zine
  • Gallery
  1. 새해 소망

    새해 소망 어느 교회 목자님의 목회일기 기도제목에 ‘2022년은 살기 좋은 세상이 되었으면 좋겠다.’가 있었다고 합니다. ‘살기 좋은 세상’이라는 말이 우리 나이의 사람들에게는 아주 익숙한 말이지만 요즘에는 거의 사용하지 않는 정...
    Date2022.01.08
    Read More
  2. 주께서 만난 시험의 정체

    주께서 만난 시험의 정체 이스라엘의 사막이라 일컫는 광야는 바람이 만든 모래결과 굴곡진 지평선이 한 폭의 그림을 빚어내는 아라비아 사막이나 요르단 사막과는 매우 다릅니다. 그저 거칠고 단조로운 땅입니다. 말 그대로 삭막함 그대로입니다. 예수님은 이...
    Date2022.01.01
    Read More
  3. 변종코로나 오미크론

    변종코로나 오미크론 최근에 오미크론이라는 코비드의 변종이 발견되었습니다. 이 변종은 기존의 델타변이 보다 감염률이 3-6배가량 높다는 이유로 몇 주 전 미국 증시의 폭락의 원인이 되기도 했습니다. 공기 중 감염도 우려되고, 백신을 맞은 사람도 소용이 ...
    Date2021.12.25
    Read More
  4. 가정교회 꿈을 공유하는 선교

    가정교회 꿈을 공유하는 선교 ‘목장’은 평신도 리더가 목회자가 되어 매주 집에서 모이는 ‘작은 교회’입니다. 그리고 성경에서 말씀하는 “예배, 교육, 교제, 제자훈련, 전도와 선교”등 교회의 본질적인 기능을 다하는 &ls...
    Date2021.12.18
    Read More
  5. 교회재정관리(2)

    교회재정관리(2) 지난번에 이어서 두 번째로 교회 예산에 관한 우리 교회의 변화된 여정을 나눕니다. (4) 헌금을 은행에 많이 저축해 놓는, 소위 이월금을 많이 남기는 것이 꼭 좋은 일은 아니라는 사실, 세상과 다른 원리라는 사실을 알려드렸습니다. 우리는 ...
    Date2021.12.11
    Read More
  6. 서리집사 임명기준

    서리집사 임명기준 본 교회의 집사임명 기준과 집사회의에 관한 사항은 아래의 본 교회 규약(교회 홈페이지에 수록)에 기록된 것과 같습니다. 2항. 안수집사 및 권사, 서리집사 1) 임무 - 집사는 "집사"라는 언어에 뜻하여 신약성경에 따라서 일하는 교회의 봉...
    Date2021.12.04
    Read More
  7. 평화로운 공동체회의

    평화로운 공동체회의 오늘은 담임목사와 협력하는 평화스러운 회의를 만드는 방법에 관해서 생각해 보겠습니다. 평화스러운 공동체 회의가 되기 위한 핵심은 교회의 존재 목적을 교회를 향하신 예수님의 뜻을 묻고 찾아가는 것에 두는 것이라고 생각합니다. 교...
    Date2021.11.27
    Read More
  8. 교회재정관리

    교회재정관리 우리 교회에서는 다음과 같은 원칙을 정해 놓고 실천하며 그렇게 하는 이유와 그렇게 했을 때 나타나는 현상을 기회가 있을 때마다 설명하고 보여주고 설득해 왔습니다. (1) 저는 성도 개인의 헌금 액수에 대해서는 알려고 하지 않습니다. 사실 ...
    Date2021.11.20
    Read More
  9. 세 가지 리더십

    세 가지 리더십 일반적으로 선교단체는 그 단체의 성격에 따라 대개 동일한 수준의 제자훈련을 시킵니다. 따라서 훈련 수준을 따라가지 못하는 사람은 단체를 떠나게 되는 마음 아픈 경우가 많이 생기게 됩니다. 하지만 교회는 모든 수준의 사람을 맞아들입니...
    Date2021.11.13
    Read More
  10. 교회 공동체 안에 여섯 마디

    교회 공동체 안에 여섯 마디 한때 사람들이 많이 읽었던 책 하나를 소개합니다. 여섯 마디의 중요한 말인데 교회공동체 안에서도 아주 중요하다고 생각합니다. 1. “제가 잘못했습니다.”(I admit I made a mistake.) “제 탓 제 실수입니다.&r...
    Date2021.11.06
    Read More
쓰기
Board Pagination Prev 1 2 3 4 5 6 7 8 9 10 ... 73 Next
/ 73
logo
강원도 동해시 감추7길 19 (지번:강원도 동해시 천곡동 995-10) 대표전화: 033-535-5572 Fax: 033-535-6572
COPYRIGHT © Copyright (c) 2017 Dongbu Central Baptist Church. All rights reserved. ALL RIGHTS RESERVED.
관련사이트